열두번째 광산시민화폐연구모임
지난 3월 7일 광산구자원봉사센터에서 열두번째 광산시민화폐모임을 가졌습니다.
이번 모임은 2024년 9월 발대식을 시작으로 진행한 [시민화폐 광산] 사업에 대한 평가와 2025년 사업 계획을 세우는 시간이었습니다.
2024년 [시민화폐 광산]은
- 광산구자원봉사센터는 마을관리소와 연계, 광산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“1313 이웃지기”사업과 연계,
광산구도시재생공동체센터는 마을공동체와 연계하여 10개동에 11개 지점 조직
- 9. 30일 발대식을 출발점으로 지점별로 [시민화폐 광산] 회원을 모집하고, 매월 1회 오프라인 만남의 날 진행
- 지점활동은 지점을 운영하는 공동체 관계망 중심으로 진행되었고, 공동체 회원이 아닌 [시민화폐 광산] 회원들의 참여 저조
- [시민화폐] 교환은 오프라인 만남의 날 진행된 프로그램을 통한 재능교환, 물품 교환이 대부분임
- 본점과 지점의 상황에 따라 [시민화폐 광산]에 대한 이해도와 활동의 차이가 큼
[하남종합사회복지관]은 ‘하남쌀롱’ 공동체를 구성, 타임뱅크에 대해 학습하고, 이웃과 재능을 나누는 ‘타임술사’를 발굴하여 공동체 관계망을 확장함
2025년에는
- [시민화폐 광산]의 확장을 위해 지점별 오프라인 만남에 동별 캠프, 1313 이웃지기, 공동체의 참여를 높이고
- 코디네이터 역량강화와 전체 회원이 함께하는 장 마련을 통해 회원 간 교환을 활성화하고
- 광산구청 교육도서관과, 소프트마이스터고와 협력하여 [시민화폐 광산] 앱을 개발, 온라인 활동도 시작하려 합니다.
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광산구 중간지원조직의 도전은 오늘도 계속됩니다!!
시민화폐 광산은
-누구나 가지고 있는 자산(시간, 재능, 물품 등)을 이웃이나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기 위한 가상 화폐로,
자산 교환을 통해 이웃 간의 관계망을 넓히고, 사회적 자본 축적으로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공동체 화폐임
- "모두의 시간은 동등하다"는 가치를 적용, 모든 서비스의 1시간은 1만 광산으로 교환되며, 물품은 교환 당사자들간의 협의를 통해 결정됨